본문 바로가기

제주 4.3 추념식의 의미와 오늘 (2025년 일정, 유래, 참여 방법까지)

탑링크 2025. 4. 3.
반응형
제주 4.3 추념식의 의미와 오늘 (2025년 일정, 유래, 참여 방법까지)

제주 4.3 평화공원 위령탑 앞에서 열린 추념식 장면을 상징하는 조용하고 경건한 이미지

왜 우리는 4월 3일을 기억해야 할까요?

제주 4.3은 단순한 과거의 사건이 아닙니다. 1948년 4월 3일부터 약 7년간 이어진 제주도에서의 국가 폭력과 민간인 희생은, 지금도 많은 사람의 가슴 속에 아픔으로 남아 있습니다. 매년 4월, 제주에서는 이 아픈 역사를 기억하고, 평화를 기원하는 제주 4.3 추념식이 열립니다.

1. 제주 4.3 사건 간단히 정리하기

1948년 4월 3일, 남한 단독 정부 수립을 반대하며 무장 봉기가 시작됐고, 이후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됐습니다. 공식 집계로만 약 25,000명 이상이 사망하거나 실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군경과 무장대 사이의 충돌로 인해 벌어진 이 사건은, 국가폭력의 대표적인 사례로 기록되고 있어요.

2. 4.3 추념식의 의미

제주 4.3 추념식은 단순한 위령제가 아닙니다. 이 행사는 국가가 처음으로 4.3 사건을 공식 인정하고, 희생자와 유족에게 사과와 위로를 전하는 공식 행사입니다. 또한 다음 세대에게 평화와 인권의 중요성을 전하는 교육의 장이기도 합니다.

3. 2025년 제주 4.3 추념식 일정

  • 일시: 2025년 4월 3일(목) 오전 10시
  • 장소: 제주 4.3 평화공원 위령탑 앞
  • 주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4.3평화재단

행사에는 유족, 도민, 정부 관계자, 학생, 외국인 관광객 등 다양한 이들이 참석합니다. 추모 묵념, 헌화, 추모공연, 평화의 메시지 낭독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4. 참여 방법은?

사전 예약 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하지만, 참석자 수가 많기 때문에 1시간 전 도착을 권장합니다. 또한 제주4.3평화공원은 연중무휴로 운영되며, 언제든 자유롭게 참배가 가능해요.

5. 꼭 가봐야 할 곳 – 제주4.3평화공원

  •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명림로 430
  • 운영시간: 매일 09:00 ~ 18:00
  • 입장료: 무료

전시관에는 사건 당시 사진과 유물, 증언 영상 등이 전시되어 있고, 야외 위령탑과 추모 공간에서는 조용한 사색이 가능합니다.

6. 4.3을 기억하는 다양한 행사들

  • 4.3 추모 음악제
  • 제주 시내 추모 조형물 및 빛 설치
  • 청소년 대상 평화 인권 교육
  • 4.3 유족 인터뷰 영상 상영

맺으며 – 우리는 기억해야 합니다

제주 4.3은 단지 제주만의 일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역사입니다. 매년 반복되는 추념식은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모두가 함께 기억하고 치유해가는 공동체적 평화의 약속이에요. 2025년, 다시 한 번 우리는 조용히 고개를 숙이고, 그날의 의미를 마음에 새겨야 할 때입니다.

반응형

댓글